분류 전체보기20 하워드의 전원도시론과 그 반대 이론 하워드의 전원도시론(Sir Ebenezer Howard's Garden City Theory)은 도시 개발 및 도시 계획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손꼽히며,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도시 구조를 제안한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도시와 자연을 조화롭게 결합하는 방식으로 농경지와 도시 기능을 통합한 '가든 시티' 모델을 제시하여 도시를 재구성하고자 했습니다. 1.하워드 전원도시론의 핵심 아이디어 및 원칙 1) 가든 시티(Garden City) 하워드는 도시를 더 나은 환경과 생활 조건을 갖춘 "가든 시티"로 재구성하고자 했습니다. 이 가든 시티는 도시의 밀집도를 줄이고, 자연환경을 보존하며,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2) 삼선정책(Three Magnets) 하워드의 이론에서는 ".. 2023. 9. 12. 컴팩트시티 도시개발이론이란? 도시공학과를 다니며 가장 흥미 있게 배웠던 이론이 컴팩트시티 입니다. 오늘은 그러한 컴팩트시티에 대한 기본적 이론 및 예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컴팩트시티란? 컴팩트 시티(Compact City)는 도시 계획 및 개발 관련 이론으로,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해 도시를 밀집하게 구축하고 관리하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도시 계획 방식은 도시화와 도시 성장에 따른 환경 문제와 교통 혼잡 등을 줄이고 도시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컴팩트 시티의 주요 특징과 원칙 1)고밀도 개발 컴팩트 시티는 주거, 상업, 공공시설 등을 밀집하게 배치하여 토지 이용 효율성을 높입니다. 이로써 토지 낭비를 최소화하고 도시의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높이며, 자연환경을 보호합니다. 2)혼합.. 2023. 9. 10. 도시의 농업입지론과 공업입지론이란? 도시개발이론에 농업입지론과 공업입지론이 있습니다. 오늘은 농업입지론과 공업입지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농업입지론과 공업입지론을 통하여 도시개발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알렉산더 투넨의 농업입지론 알렉산더 투넨(Alexander von Thünen)은 19세기 독일의 경제학자로, 토지 이용과 농업에 대한 연구로 유명합니다. 그의 주요 이론 중 하나가 "농업입지론" 또는 "투넨 모형"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농업 활동이 지리적인 요인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농업입지론은 농업 활동이 어떻게 위치를 선택하고 어떤 지역에서 어떤 작물 또는 작물 조합을 재배하는지에 대한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농업 생산의 지역적 분포와 패턴을 이해하고 설명.. 2023. 9. 9. 크리스탈러의 중심지이론(도시계획이론 중) 오늘은 도시계획 이론 중 크리스탈러의 중심지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국토 및 지역계획 이론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이론이라고 볼 수 있는 크리스탈러 중심지 이론을 통하여 지역계획의 기본 이론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크리스탈러의 중심지이론(Christaller's Central Place Theory)이란?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Christaller's Central Place Theory)은 독일의 경제지리학자 왈터 크리스탈러(Walter Christaller)에 의해 제안된 이론으로, 1933년에 발표되었습니다. 이 이론은 도시와 마을의 공간 분포와 경제적 상호작용을 설명하며, 특히 농촌과 도시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합니다.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의 주요 개념과 원리는.. 2023. 9. 8. 이전 1 2 3 4 5 다음